2023년 설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설날 아침에는 오랜만에 가족들이 모여 떡국도 먹고 차례도 지낼 예정이실 겁니다. 이전에는 차례상 차리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이번에는 차례상 맨 중앙에 올리는 지방 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마지막에는 무료 다운로드까지 있으니 쓰는 법을 잘 읽어보시고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방이란?
지방이란 제사를 지낼 때 고인의 신위를 표시하기 위해 사진 대신 종이에 글을 적어 위패를 대신하는 것입니다.
제사를 지내긴 하는데 이 제사가 누구를 위한 제사인지 표시하기 위해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것이죠.
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 사당이 현대로 넘어오면서 사라지게 되면서 대신 조상을 의미하는 위패를 종이에 쓰게 된 것입니다.
지방은 백색의 한지로 만들고 높이 22cm, 너비 6cm 정도로 합니다. 신주의 모양과 같이 위쪽 모서리를 잘라줍니다.
제사가 다 끝나고 난 뒤 지방은 불에 태운다고 합니다.
설날과 추석에도 지방 꼭 써야할까?
보통 제사에 지방을 쓸 때에는 지방 쓰는 법을 따라서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설날과 추석에는 "모든 선대 조상님들께"라는 뜻인 "현선대전조상신위"를 쓰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이번 설날에 가정의 가풍에 따라, 위와 같이 "현선대전조상신위"를 쓰셔도 되고
아래 설명에 맞게 원래 지방을 쓰는 법에 따라 규칙에 맞게 쓰셔도 됩니다.
지방 쓰는 법
지방 쓰는 법은 규칙이 있습니다.
1. 지방은 위에서 아래로 세로로 씁니다.
2. 순서에 맞게 씁니다. (4가지 순서)
3. 조상님이 두 분이실 때는 남자가 왼쪽 여자가 오른쪽입니다. 한분이시면 중앙에 한 줄로만 씁니다.
지방 쓰는 법 - 지방에 글은 4가지 파트로 나누고 순서대로 씁니다.
지방 쓰는 법 첫 번째
제사를 지내는 제주와 고인과의 관계를 씁니다. 아무래도 제사를 지내는 제주가 누구를 모시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이죠.
지방 쓰는 법 두 번째
조상님, 고인의 직위를 씁니다.
남자: 현재는 벼슬이 없기 때문에 모두 학생으로 표시합니다.
여자: 남편의 벼슬이 있으면 부인이라고 쓰겠지만 현재는 벼슬이 없기 때문에 모두 유인으로 씁니다.
지방 쓰는 법 세 번째
고인의 성별 혹은 본관 성씨
남자: 부군이라고 씁니다.
여자: 본관 성씨를 씁니다.
지방 쓰는 법 네 번째
고인의 자리
임시로 만든 위패이기 때문에 신위라고 마지막에 공통적으로 씁니다.
증조할아버지 지방 쓰는 법 예시
다른 가족들 지방 쓰는 법 예시
아버지![]() |
어머니![]() |
할아버지![]() |
할머니![]() |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
지방 쓰는 법 무료 다운로드
지방쓰는법 아직도 어려우시다면 출력만 해서 쓸 수 있는 지방쓰는법 무료 다운로드 첨부해 드립니다.
이미 규격까지 맞춰진 상태이므로 적절한 수정 후에 쓰시면 될 것 입니다.
추가로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공유합니다.
https://blogyoung2.tistory.com/58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올리면 안 되는 음식 총정리
설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올해 2023년은 1월 22일이 설날인데요, 많이 간소화되기도 하고 이제는 더 이상 안 차리는 집들도 있지만 아직도 설날 아침에 차례상을 차리시는 집들이 많습니다. 일
blogyoung2.tistory.com
'everyt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조화환의 의미, 근조화환 보내기 전 필독! (0) | 2023.01.16 |
---|---|
2023 설날 기차표 예매 방법, 설 특가 40-60% 할인 예매 방법 (0) | 2023.01.11 |
2023 인기 설날 선물세트 VS 특별한 설날 선물세트 BEST 5 (0) | 2023.01.06 |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올리면 안 되는 음식 총정리 (0) | 2023.01.05 |
이종석, 아이유 열애인정과 오래된 인연까지 총정리 (1) | 2023.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