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by health

아기 손가락 빨기, 심리적 문제일 수 있다? (원인, 문제, 고치는 방법)

by nic간호사맘 2022. 10. 27.
728x90

손가락이나 공갈 젖꼭지를 빠는 것은 아이들에게 의학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빨더라도 낮에 잘 놀고 다른 아이들에게 관심을 잘 보이며 잘 때나 심심할 때만 빠는 정도라면 걱정할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일에는 관심이 적고 손가락 빠는 일에만 지나치게 집중하는 아이들에게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기-손가락-빨기-원인-문제점-고치는-방법-심리적-문제일-수-있다고?

아이들은 손가락을 왜 빠는 걸까요?

생후 6개월 이전의 아기

생후 6개월 이전의 아기가 손가락을 빠는 경우는 빠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가 대부분입니다. 

공갈 젖꼭지를 빨면서 빠는 욕구를 충족시키듯이 손가락을 빨아서 아이가 만족을 느끼는 것이지요.

 

따라서 6개월 이전의 아기가 손가락을 빠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본능입니다. 대개 시간이 지나 6개월이 지나면 세상에 더 재미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손가락 빨기를 그치게 됩니다.

 

생후 6개월 이후의 아기

6개월이 넘은 아기가 손가락을 빠는 것은 습관으로 볼 수 있습니다. 6개월 이전의 아기가 손가락을 빠는 것은 정서발달에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지만 6개월 이후의 아기가 손가락을 빠는 것은 심심해서 이거나 위안을 얻으려고 빠는 경우가 흔합니다.

 

아기들은 크면서 세상의 다른 재미있는 것들에 관심을 보이게 됩니다. 그러면서 서서히 손가락을 빠는 행위가 시들해지죠. 

 

그런데 다른 것들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니 손가락을 빨면서 심심함을 달래거나 위안을 삼게 되는 것입니다.

아이가 6개월이 지났는데도 손가락을 빨면 아이가 계속 심심한 환경에 놓인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손가락 빨기의 문제점

손가락 염증이나 피부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손가락이 항상 침에 젖어있게 되면 불어 터지고 약해진 피부를 통해 피부염이 잘 생깁니다. 또한 손가락이 접히는 부위에는 접촉성 피부염이 생깁니다.

 

피부염이 심하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하고 약을 사용 할 때도 아이가 빨아서 입에 들어갈 것을 염두에 두고 약을 사용해야 합니다.

 

손가락 빨기를 통해 심리적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다양한 외부 자극과 놀이를 통해 두뇌가 발달하고 자신을 발전시킵니다. 하지만 손가락을 열심히 빨면 외부 자극을 받아 들이기보다는 자신에게만 집중하게 되고 심지어 손가락을 빨면서 심심함을 달랠 수도 있습니다.

 

외부자극을 수용하고 반응하는 '놀이'가 무시되고 '자기 위안'만 남게 되는 것이지요.

 

다른 심리적 문제로는 아이가 나이가 먹을 수록 친구들에게 놀림의 대상이 되어 사회생활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가 손가락 빠는 행위를 제제할 경우 아이가 부모의 말을 듣는 것과 습관을 고치지 못하는 행위 사이에서의 죄책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손가락 빨기 고치기

손가락 빨기를 고치는 방법에 당장 오늘부터 효과 있는 비책은 없습니다. 몇 개월 몇 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를 보채거나 혼내서 무리하게 해선 안됩니다. 강제로 못 빨게 하거나 혼을 내는 방법은 스트레스만 가중시켜 더 역효과만 날 것입니다.

1. 친구를 많이 만나게 해 주세요

6개월이 지난 아이들은 친구와 매일 만나 많이 놀아야 합니다.  낮에 많이 놀아 외부로 에너지를 발산한 아이들은 낮에는 당연히 손가락을 빨 시간이 없고 저녁에 잘 때도 손가락을 적게 빨게 됩니다.

2. 적절한 장난감을 주세요

나이에 맞는 적절한 장난감을 제공해 주세요.  아이가 장난감을 통해 심심하지 않게 시간을 보내는 법을 알려주는 겁니다.

3. 껌을 씹게 합니다.

어린아이들은 삼켜서 안되지만 좀 큰 아이들의 경우에는 껌을 씹게 하면 손가락을 덜 빨게 됩니다.

4. 손가락을 빨지 않으면 보상을 줄 수 있습니다.

두 돌이 지난 조금 큰 아이들은 보상을 제공했을 때 손가락을 빠는 행위를 스스로 억제할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그 점을 이용해 보상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스스로 자제하게 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입니다.

 

손가락 빨기 고치게 하려고 이 방법은 쓰지 마세요

1. 혼을 내면 안 됩니다.

손가락을 빠는 것이 고착화된 아이에게 강제로 손가락을 빨지 못하게 하는 것은 어른에게 담배나 술을 끊으라고 하는 것과 똑같이 힘든 일입니다. 아이도 손가락 빨기가 안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마음대로 되지 않아 시간이 걸린다는 뜻이지요.

 

손가락을 빠는 것을 강제로 못하게 하면 스트레스만 주어 몰래 숨어서 빠는 등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강요나 억압 없이 시간을 두고 기다려 주는 방법이 더 빠르기도 합니다.

2. 쓴 약을 바르지 맙시다.

제가 동생이 둘 있는데 두 동생 모두 어렸을 때 손가락 빠는 것을 못하게 하려고 엄마가 쓴 약을 바른 적이 있었습니다. 두 동생 모두 쓴 약을 모두 먹어버리고 손가락을 빨더군요. 이 방법은 쓴 약으로 손가락 빨기를 고치기보다는 아이들에게 심리적인 부담감만 주는 방법입니다.

3. 손을 억제하는 방법

손에 반창고, 장갑 양말 등을 씌우는 것 또는 손을 침대에 묶어두거나 손가락에 나무를 대는 것 등은 아이의 능동적인 자유의지를 억제하는 것입니다. 이런 방법은 아이에게 오히려 좌절감을 안겨주어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