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눈이 빨개지면 보통 다래끼나 눈병을 의심합니다. 하지만 눈 주위가 붉게 변하면서 뭐가 난다고 전부 다래끼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아기들도 눈 주위가 붉게 변하면서 다래끼나 결막염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죠. 초기에는 이런 눈 관련 염증질환이 구분이 안되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안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아기 눈다래끼는 무엇인가요?
아기들이 손으로 눈을 비빌 때 손에 있던 지저분한 균들이 눈썹의 모공을 통해서 침입하면 다래끼가 생깁니다. 포도상구균이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이 균이 눈꺼풀의 가장자리에 있는 피지샘과 땀샘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눈꺼풀은 피부조직이 느슨하고 연약해서 조금만 염증이 생겨도 쉽게 부어오르고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어 눈을 자꾸 비비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 면역력이 약해진 시기일 경우 생기기 쉽습니다.
아기 눈 다래끼 빨리 낫는 법
아기의 눈다래끼는 병원에 갑니다.
다래끼는 병원을 처음부터 가는 것이 가장 빨리 낫는 방법입니다. 다래끼가 생겼다고 집에서 이것저것 약을 쓰지 마세요. 혹여 다래끼가 아닐 수 있고 다른 질병에 엄한 약이 들어갈 수도 있으니 정확한 진단이 우선입니다.
집에서는 찜질을 해 줍니다.
집에서 치료를 할 때는 뜨거운 찜질을 해 줍니다. 찜질을 할 때는 40-45도의 따뜻한 물주머니로 15-30분씩 하루에 4-6회 정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주머니가 식으면 바로 갈아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합니다.
찜질을 충분히 하여 다래끼가 충분히 익으면 깨끗한 거즈로 고름을 짜주어야 합니다. 고름을 잘 못 짜면 멍울이 남아 추후에 째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를 설득해서 집에서 고름을 짜는 것도 대단히 힘든 일이기에 안과나 소아과에 가서 고름을 제거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손을 깨끗하게 씻겨야 합니다.
다래끼가 생긴 아이는 손바닥 뿐 아니라 손등도 잘 씻겨야 합니다. 아이들은 눈을 비빌 때 손등으로도 눈을 잘 비비기 때문입니다. 손에 있는 지저분한 균들이 눈썹의 모공을 통해 다시 진입하면 이미 생긴 다래끼가 더 커질 수 있고 빨리 낫지 않습니다.
다래끼는 전염되는 질환은 아니지만 아이가 여러명이라면 수건을 따로 쓰게 하고 모든 아이들의 손을 깨끗하게 잘 씻겨야 안전합니다.
다래끼에 잘 걸리는 아이는 손과 얼굴 그리고 눈꺼풀에 있는 눈썹까지 잘 씻기는 게 다래끼 예방에 좋습니다.
아기들 유행성 결막염이란?
아기 유행성 결막염 원인과 증상
유행성 결막염은 아데노 바이러스 때문에 생깁니다. 유행성 결막염에 걸리면 갑자기 눈이 붉어지고, 눈물이 많이나며, 눈꺼풀 속에 모래가 들어간 것 같이 이물감이 느껴지고, 가려워 눈을 비비게 되고 눈이 타는 듯이 아프기도 합니다.
눈이 붓기도하고 햇볕 아래에서 심하게 눈이 부시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눈앞이 흐려지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유행성 결막염과 감기가 같이 걸리기도 합니다.
아기 유행성 결막염의 잠복기
유행성 결막염은 아데노 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들어와 5-7일 정도가 지나면 발병하기 시작합니다. 길게는 2주가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행성 결막염은 전염성이 강합니다.
유행성 결막염은 접촉에 의해 옮기 때문에 유행성 결막염이 돌 때는 되도록 수영장이나 목욕탕은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 중에 환자가 있으면 수건도 따로 써야 하고 환자와 접촉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도록 합니다.
유행성 결막염 주의할 점
눈을 비비면 안됩니다.
눈을 비비면 염증이 생긴 눈에 자극을 주어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하지만 아이에게 아무리 주의를 주어도 가려운 눈을 비비지 않는 것은 아이들이 어릴수록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따라서 아이들의 손을 자주 씻겨 주세요.
찜질을 하면 안 됩니다.
눈 다래끼에는 뜨거운 찜질을 하는 것은 맞는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결막염의 경우에는 뜨거운 찜질을 하면 병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합병증을 주의해야 합니다.
간혹 아이들이 결막염에 걸렸을 경우 각막이 흐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각막이 흐려지면 시력이 떨어질 수 있는데 수개월 치료를 해야 회복됩니다.
유행성 결막염에 걸리면 기관은 쉬게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유행성 결막염은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학교나 유치원에 보내지 않아야 합니다. 아이도 집에서 쉬게 해야 빨리 낫기도 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도 막을 수 있습니다.
유행성 결막염 치료
결막염은 생각보다 종류가 다양합니다. 가벼운 것부터 심한 것까지 다양하고 종류에 따라 치료 약도 다릅니다.
결막염에 이번에 걸렸을 때 사용한 약이 다음번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눈병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안약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지요. 유행성 결막염이 의심된다면 안과 상담 후에 안약을 처방받아 사용해야 합니다.
'baby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가 알려주는 '정말 쉬운' 아동 CPR 순서와 방법 [Chapter2. 아동] (2) | 2022.11.01 |
---|---|
아기 손가락 빨기, 심리적 문제일 수 있다? (원인, 문제, 고치는 방법) (0) | 2022.10.27 |
아기 눈 건강에 대해 알아봅시다. (시력, 모빌, 눈물샘, 눈곱, 속눈썹) (0) | 2022.10.25 |
아기 눈 사시에 대한 모든 것. 사시 증상, 교정, 검사 (0) | 2022.10.24 |
아기 고추가 빨개요. 아기 귀두포피염 (0) | 2022.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