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귀 떼는 시기는 만 18개월부터 24개월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18개월 이전에 대소변 가리기를 시작하면 더 늦게까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기저귀를 떼는 것은 절대 아기들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아이를 절대 들볶으면 안 됩니다. 기저귀를 떼는 것은 때가 되면 언젠가는 떼게 되어있으니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지 마시고 조급한 마음을 내려놓으셔야 합니다.
기저귀 떼는 시기는 언제가 좋을까요?
기저귀를 떼는 시기는 생후 18개월부터 24개월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대소변을 가리는 것은 일정한 나이가 되었다고 바로 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엄마가 기저귀를 떼는 것이 아니고 아이가 떼는 것이기 때문에 엄마 마음대로 시기를 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대소변가리기의 정의
아이가 스스로 변기에 가서 혼자 옷을 내리고 대소변을 본 뒤에 옷을 올릴 수 있을 때 대소변을 가린다고 말합니다.
아이가 대소변을 가리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필요한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 대소변을 누고 싶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 대소변을 참고 화장실까지 갈 수 있도록 조절하는 근육이 생겨야 합니다.
- 엄마가 아이에게 변기 사용법을 설명해야하므로 아이가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시기여야 합니다.
- 아이 스스로가 대소변 가리기를 원해야 합니다.
하지만 기저귀를 떼는 시기는 아이들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생후 12개월 이전의 아이는 자신의 힘으로 대소변을 조절할 수 없습니다. 생후 15개월쯤 되면 아이가 소변을 본 후에 엄마에게 '쉬쉬' 알려주고 18개월쯤 되면 소변과 대변을 보고 싶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말한다고 해서 대소변을 가릴 수 있는 것 또한 아닙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18개월부터 24개월 사이가 되어야 대소변 가릴 준비가 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평균 수치일뿐 아이가 두 돌이 되었는데도 기저귀를 뗄 준비가 안 돼있다면 당연히 연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귀 떼기를 연기해야 하는 경우
기저귀를 떼는 일은 어른들이 보기에는 별것 아닌 단순한 일처럼 보이지만 아이들에게는 큰일이며 엄청나게 스트레스 받는 일입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아이들이 최상의 컨디션으로 기저귀를 뗄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의 상황들에서는 기저귀를 떼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아이가 아프고 난 후 아직 회복이 안되었을 경우
2. 동생이 태어났을 경우
3. 이사를 한 경우
4. 집안에 큰일이 있어 어수선한 경우
아이들의 성장 과정 중에 유난히 떼를 많이 부리며 말을 안듣는 시기가 있습니다. 엄마들이 가장 먼저 잘 알 텐데요. 그런 시기에도 기저귀를 떼기 시작하면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런 시기를 만난다면 기저귀 떼는 일을 살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엄마가 아닌 아이가 대소변을 가릴 준비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기저귀를 떼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baby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가 알려주는 아기 기저귀 떼기 part3. 잘 하던 아이가 실수할 때, 대소변 과도기 (2) | 2022.11.30 |
---|---|
간호사가 알려주는 아이 기저귀 떼기 대소변가리기 part 2. 기저귀 떼는 방법, 순서 (0) | 2022.11.28 |
간호사가 이야기해주는 소아 결핵 Part 2. 결핵약 먹이기 (1) | 2022.11.24 |
간호사가 이야기 해 주는 소아 결핵 증상, 검사, 치료 (0) | 2022.11.22 |
아기 보행기 타는 시기와 보행기 단점. 엄마들 알고 태웁시다! (2) | 2022.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