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에 만능 약이 있을까요? 변비의 원인이 무엇이든 집에서 엄마가 할 수 있는 간호를 해야 합니다. 가장 첫째로 아이가 먹는 양이 변을 만들기에 충분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먹고 있는지 식습관을 개선하고 그래도 안되면 소아과 상담을 받아 생각지 못한 다른 이유가 있는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돌 전 아기 변비, 이유식을 하는 아기들 변비 해결방법
1. 이유식에 섬유질이 있는 채소를 넣어 먹이세요
이유식을 하는 아이에게는 평소에 여러가지 종류의 채소를 섞은 이유식으로 섬유질을 공급해 주어야 합니다.
섬유질이 있는 채소와 과일로는 푸룬, 살구, 배, 복숭아, 콩, 완두, 시금치, 건포도, 브로콜리, 양배추가 있습니다.
이유식은 반드시 이유식 책을 보고 만들어야 합니다. 간혹 이유식 책을 보지 않고 만들어서 장에 섬유질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변비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쉽게 말해 변비를 예방하는 기전은 아이가 자람에 따라서 이유식 양을 늘리고 섬유질 많은 채소를 먹여, 변이 일정한 크기가 되게 해서 장에서 쉽게 밀어낼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겁니다.
2. 물이나 주스를 먹입니다.
이유식을 하면서 아기들은 물을 먹기 시작해야 합니다. 처음 이유식을 하면서 수분 부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물을 먹여 주어야 합니다.
6개월부터는 주스를 먹일 수 있습니다. 이때, 주스는 과일을 통째로 갈아서 만들어 먹이세요. 휴롬 같은 착즙기를 사용하면 먹이는 것은 수월할지 모르지만 섬유질을 모두 제거하기 때문에 변비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6-12개월의 아기가 변비가 심하면 희석한 사과주스, 배 주스나 푸룬 주스나 푸룬 퓌레를 먹입니다.
돌아기 변비 해결방법
1. 우유를 많이 먹이면 변비가 생깁니다.
돌이되면 젖병과 분유를 끊고 생우유로 바꿔서 하루에 500cc 정도만 먹입니다. 돌이 지난 아기의 주식은 우유가 아니고 밥과 반찬입니다. 분유는 더더욱 아닙니다!
우유를 많이 먹게 되면 배가 불러 식사량이 줄게 되고 식사량이 줄게 되면 변비가 생깁니다. 우유는 섬유질이 적은 음식이므로 아기가 변비가 있다면 우유량이 많지는 않은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2. 요구르트나 유제품을 먹이는 것은 해결 방법이 아닙니다.
우유를 많이 먹는 아기에게 우유 대신에 요구르트나 유제품을 먹이는 것은 장기적으로 해결 방법이 아닙니다. 아무래도 장에 우유보다 유산균이 든 요구르트가 들어오면 장운동을 촉진해 처음에는 변비에 효과가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장운동을 일으킬 순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아이가 유제품을 먹는 만큼 다른 음식을 안 먹게 되어 섬유질의 섭취가 줄면서 변비가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3. 분유를 끊어서 변비가 생긴 것이 아닙니다.
분유를 끊고 변비가 생겼다고 다시 분유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분유를 끊으면서 수분의 양을 분유만큼 보충하지 않아서 생긴 문제입니다. 분유물을 타서 먹던 만큼 식사량으로 바뀌었으니 식사와 물을 같이 잘 병행해서 충분히 먹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변비때문에 항문에서 피가 나면
심한 변비 때문에 변이 딱딱하게 나오다가 항문이 찢어지면 아이는 항문이 아파서 변을 참느라고 변비가 더 심해집니다. 이 정도의 변비 수준으로 가게 되면 더 이상 섬유질 섭취와 물 섭취로는 해결이 불가능합니다. 아이가 변을 참고자 하는 심리적인 요인까지 첨가됐기 때문이죠.
반드시 소아과 상담을 받고 배안에 가득 들어있는 딱딱한 변을 무르게 하는 약을 복용하고 관장도 해야 합니다. 찢어진 항문은 좌욕을 해서 회복시켜주어야 합니다. 하루 4-5회 정도 한 번에 10분 이상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관장을 집에서 해도 될까요?
관장을 집에서 할 때는 소아과 의사의 처방을 받아 약국에서 관장 기와 관장약을 사서 설명대로 하면 됩니다. 보통 글리세린이 주성분인 관장약을 사용할 텐데요, 관장약은 손으로 감싸서 체온과 비슷하게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항문 주위에 아기 오일을 충분히 발라 항문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합니다. 관장약을 넣을 때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서서히 넣습니다. 관장약을 정량보다 많이 넣어서는 안 됩니다.
'baby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아토피성 피부염 원인, 증상, 치료, 지켜야할 수칙 (0) | 2022.10.19 |
---|---|
아기 변 색깔이 이상해요 (흰 몽우리변, 점액변(곱똥), 혈변, 녹색 변, 흰색 변(회색변)) (0) | 2022.10.18 |
신생아, 1개월 2개월 3개월 이하의 아기 변비, 아기 변비 해결 방법 (0) | 2022.10.14 |
아기 설사에 대한 모든 것. 아기 설사의 원인과 증상들 (0) | 2022.10.12 |
아기가 밤에 기침이 심할 때, 잘 때 기침 완화 방법 (0) | 2022.10.11 |
댓글